1) 링컨-더글러스 토론이란?
이 토론은 1858년 일리노이주 상원의원 선거캠페인 중 에이브러햄 링컨과 스테픈 더글러스 사이에 있었던 노예제도에 관한 토론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양쪽에 각각 한 사람이 토론에 참가하는 방식이다. 1980년 미국 <전국토론리그>에서 채택됨으로써 미국 고교생 토론대회에서 가장 대중적인 방식이 되었다.
2) 특징
■ 가치토론에 적합한 토론 유형이다.
■ 일대일 토론의 형식을 취하고 있어 주장과 반박의 부담이 한 사람에게 집중된다.
3) 링컨-더글러스 토론의 진행순서
(1) 참여인원
찬성측, 반대측 각 1명
(2) 운영시간
총 32분
(3) 진행순서
① 찬성측 입론 6분
② 반대측 교차질문 3분
③ 반대측 입론 7분
④ 찬성측 교차질문 3분
⑤ 찬성측 반박 4분
⑥ 반대측 반박 6분
⑦ 찬성측 반박 3분
4) 링컨-더글러스 토론과 CEDA 토론의 비교
(1) 비슷한 점
■ 찬성측 토론자가 처음과 마지막 순서를 차지한다.
■ 반대측 토론자의 발언기회가 중앙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 총 발언 시간은 똑같다.
■ 반박에서 새로운 주장을 할 수 없다.
(2) 다른 점
■ 토론의 부담이 한 명에게 지워지므로 역할분담이 없다.
■ 준비시간이나 숙의시간이 없다.
■ 반대측은 입론에서 1분, 찬성측은 반박에서 1분을 더 배정받는다.
'토론과 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대1 토론에서 긍정측 입론자의 입론서 작성 방법 (0) | 2012.12.07 |
---|---|
토론개요서(양심적 병역거부) (0) | 2012.11.26 |
아카데미식 토론의 종류3 (칼포퍼 토론) (0) | 2012.11.25 |
아카데미식 토론의 종류2 (의회 토론) (0) | 2012.11.25 |
아카데미식 토론의 종류1 (CEDA 토론) (1) | 201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