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과 논리54 CEDA 토론에서 교차조사(질의, 상호질문, 심문)의 방법 CEDA 토론에서 교차조사(질의, 상호질문, 신문)의 방법 CEDA 토론의 과정 중에 교차조사라는 과정이 있습니다. 다른 말로는 질의, 상호질문 또는 반대신문 과정이라고도 합니다. 교차조사는 CEDA 방식 토론에서 가장 핵심적이며 역동적인 토론과정이기도 합니다. 상대측 입론이 끝나고 바로 교차조사가 진행되는데 상대측 입론에서 나타나는 논리적 오류를 부각시키며 상대를 공격하는 신문과정입니다. 그러므로 교차조사자는 토론을 역동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교차조사를 진행해야 하며 또한 심사위원과 청중으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을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론자들은 교차조사를 진행하면서 많은 부분에서 미숙한 면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초보 토론자의 경우 대부분 교차조사를 형식으로 진행하는.. 2012. 12. 9. 1대1 토론에서 부정측 입론자의 입론서 작성 방법 1대1 토론에서 부정측 입론자의 입론서 작성 방법 부정측 입론은 긍정측과 달리 준비한 원고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긍정측의 논점에 대해서 쟁점화 할 의무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토론에서 긍정측과 부정측이 서론 다른 논점을 가지고 토론을 한다면 청중의 입장에서 재미없는 토론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부정측 토론자는 토론을 역동적으로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여 합니다. 토론을 역동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찬성측의 논점이 세 가지라고 가정한다면 이 가운데 하나 또는 두 가지 논점에 대해서 반박적 논점을 사용하여 쟁점화 해야 합니다. 1. 긍정측의 핵심 논점을 제시해 줍니다. 부정측의 입론은 긍정측의 핵심논점이 무엇인지 잘 파악하고 있다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이는 토론에서 가장 중요한 듣.. 2012. 12. 7. 1대1 토론에서 긍정측 입론자의 입론서 작성 방법 1대1 토론에서 긍정측 입론자의 입론서 작성 방법 입론서는 실제로 토론에서 입론과정에 사용할 내용을 예상에서 작성합니다. 특히 긍정측 입론은 준비할 내용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정측 보다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1. 논제와 관련하여 논의의 배경이나 사안의 중요성을 제시합니다. 토론을 벌어지는 이유는 갈등이 전제된 상태입니다. 이러한 갈등이 발생하게 된 배경이나 현재의 상황이 심각하여 많은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음을 밝혀야 합니다. 이는 토론을 해야 할 필요성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청중들에게 알림으로써 논제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내용을 창의적이고 흥미롭게 구성해 주어야 합니다. 2. 논제에 등장하는 주요 용어에 대한 정의를 합니다. 긍정측 토론자는 논제.. 2012. 12. 7. 토론개요서(양심적 병역거부) [샘플]토론 개요서(긍정측) 논제 양심적 병역거부는 허용되어야 한다. 용어의 정의 양심이란 법전에 나오는 헌법상의 신념의 자유를 말한다. 또 병역거부는 종교적, 도덕적, 정치적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하는 행위이고, 허용한다는 것은 허락하여 너그럽게 받아들인다는 것으로 양심을 위해 집총을 거부하는 사람들에게 군 대신 그에 상응하는 대체복무를 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경 상황 우리나라의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1950년대 후반부터 처벌받기 시작, 1994년부터 항명죄의 최고형인 3년형이 선고되었고, 2001년부터는 1년 6개월형이 선고되고 있다. 지금까지 병역법 위반으로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이 1만 여명, 매년 600여명의 사람들이 감옥에 가고 있다. 2004년 4월 유엔 인권위원회는 양심에 .. 2012. 11. 26. 아카데미식 토론의 종류4 (링컨-더글러스 토론) 1) 링컨-더글러스 토론이란? 이 토론은 1858년 일리노이주 상원의원 선거캠페인 중 에이브러햄 링컨과 스테픈 더글러스 사이에 있었던 노예제도에 관한 토론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양쪽에 각각 한 사람이 토론에 참가하는 방식이다. 1980년 미국 에서 채택됨으로써 미국 고교생 토론대회에서 가장 대중적인 방식이 되었다. 2) 특징 ■ 가치토론에 적합한 토론 유형이다. ■ 일대일 토론의 형식을 취하고 있어 주장과 반박의 부담이 한 사람에게 집중된다. 3) 링컨-더글러스 토론의 진행순서 (1) 참여인원 찬성측, 반대측 각 1명 (2) 운영시간 총 32분 (3) 진행순서 ① 찬성측 입론 6분 ② 반대측 교차질문 3분 ③ 반대측 입론 7분 ④ 찬성측 교차질문 3분 ⑤ 찬성측 반박 4분 ⑥ 반대측 반박 6분 ⑦ 찬성측.. 2012. 11. 25. 아카데미식 토론의 종류3 (칼포퍼 토론) 1) 칼 포퍼 토론방식이란? 칼 포퍼식 토론은, 인간의 지식은 항상 오류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합리적 비판이 필요하며, 모든 지식은‘추측과 반박’을 통해 발전한다는 칼 포퍼의 사상을 열린사회연구소(open society institute)와 소로스재단 네트워크가 1994년 공동작업을 통해 형식화시킨 토론이다. 당신이 옳을 수도 있고 내가 틀릴 수도 있다. 다만 서로 힘을 모으면 우리는 진리에 더욱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칼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 칼 포퍼 토론방식은 위와 같은 칼 포퍼의 사상에 기초하여 주로 고등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 자기 표현, 그리고 다른 의견에 대한 관용과 포용의 자세를 길러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세 명이 한 팀을 이루어 각 팀이 한 번의 입론과 두 번의.. 2012. 11. 25. 아카데미식 토론의 종류2 (의회 토론) 1) 의회 토론방식이란? 1820년대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의 학생회에서 행하던 토론방식에 기초한 것으로 영국의회의 특징을 반영한다. 2) 특징 ■ 한 팀이 두 사람으로 구성될 때에는 그 중 한 명(수상, 야당당수)은 두 번의 발표 기회를 갖고 다른 한 명(여당의원, 야당 의원)은 한 번씩 발표 기회를 갖는다. ■ 한 팀이 세 사람으로 구성 될 때에는 각각 한 번 씩의 발표 기회를 갖는다. 논제를 토론 시작 전에 공개하여 토론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미국의회토론협회의 경우 토론 시작 15분에서 30분 전에 논제를 공개한다.) ■ 토론 중간에 따로 질문 시간을 배정하지 않으며 대신에 토론 중 상대 팀이 발언하고 있는 동안 자리에서 일어나 보충질의, 의사진행발언, 신상발언 등을 할 수 있다. .. 2012. 11. 25. 아카데미식 토론의 종류1 (CEDA 토론) 1. CEDA(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토론 1) CEDA 토론이란? 1947년 이래로 개최되어온 미국의 의 방식에서 발전되어 토론자들간의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가장 보편적인 토론형태로서 미국의 대학생 토론대회에서 가장 널리 채택되고 있다. 각 팀은 두 사람으로 이루어지며, 토론자 개개인은 각각 세 번(입론, 반박, 교차질문)의 발언 기회를 갖게 된다. 아카데미식 토론은 언어로 하는 일종의 게임이므로 토론자들은 자신의 순서와 시간을 사전에 잘 익혀서 게임의 법칙을 위반하는 실수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특징 ■ 토론교육에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형식 ■ 각 팀은 2명으로 구성되며 각 토론자는 입론-질문-반박을 한 번씩 총 3번의 발언 기회를 .. 2012. 11. 25. 아카데미식 토론 교육의 효과 (디베이트 교육) 아카데미식 토론 교육의 효과 (디베이트 교육) “끊임없이 생각하게 하고, 적절한 논쟁을 유도하여, 핵심내용을 스스로 깨닫게 하는 교육” “지혜를 얻고 자신만의 의견으로 당당하게 표현하는 능력” 아카데미식 토론 교육은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가장 큰 교육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는 물론이고 토론의 논제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자료를 조사하면서 해당 분야의 배경지식의 습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하는 능력까지 키울 수 있습니다. 아카데미식 토론교육의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토론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줍니다. 토론 활동은 비판적 사고의 보고(寶庫)입니다. 아카데미식 토론은 입론, 교차조사, 반박, 최종발언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네 가.. 2012. 11. 25.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