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감이야기38

유니버설디자인의 배경과 필요성 유니버설디자인의 배경과 필요성 Contents 1. 유니버설디자인이란? 달동네 경사진 도로에 세월이 흐르면서 계단이 생기고 핸드레일이 생겼다. 살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언덕이 불편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계단을 만들었는데 누군가에게는 계단이 장벽이 되기도 했다. 그러더니 이제 이런 디자인이 만들어졌다. 모노레일이다. 설치되고 나니 건강한 사람은 계단을 이용하고, 계단이 장벽이라고 느껴지시는 분들은 모노레일을 이용한다. 이것이 유니버설디자인이다. 세상에는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다. 어린이고, 청소년이고, 노인이고, 키가 크고, 작고, 강하고, 약하고, 오른손잡이고, 왼손잡이고, 임신 중이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다양한 사람만큼이나,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이나.. 2024. 3. 31.
장애인 가족의 어려운 삶과 장애 학생 학대 사례 장애인 가족의 어려운 삶과 장애 학생 학대 사례 Contents 1. 선천적 장애와 중도 장애에 따른 적응 과정 장애인 가족의 유형은 자녀에게만 장애가 있는 경우가 66.7%, 부모 중 한 명에게 장애가 있는 경우가 12.5%, 부모 모두에게 장애가 있는 경우가 7.4%, 부모와 자녀가 모두 장애인 가족인 경우가 13.4%이다. 선천적 장애와 후천적 장애에 따른 적응 과정이 다르다. 선천적 장애인은 비장애인으로 살아온 경험 없고 출생 시 또는 영유아기에 장애가 시작된다. 선천적 장애인 가족은 자녀가 어릴 때 대부분 심리적 적응 과정을 겪게 된다. 그래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지침을 가지고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힘들지만 적응하게 된다. 후천적 장애인은 비장애인으로 살아온 경험이 있다. 그러다 보니 과거 가족.. 2024. 3. 29.
퀴블러로스 이론과 장애를 받아들이는 심리적 반응 퀴블러로스 이론과 장애를 받아들이는 심리적 반응 Contents 1. 퀴블러로스 이론의 개념 퀴블러로스의 이론이라는 중요한 이론이 있다.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1969년에 쓴 《죽음과 죽어감》이란 책에서 처음 제시한 모델이다.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5단계를 최초로 소개한 죽음학 연구의 고전.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이며 20세기를 대표하는 정신의학자, 의 저자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대표작이다. www.aladin.co.kr 사람이 죽음을 선고받고 이를 인정하기까지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다섯 단계로 구분을 해 놓은 이론이다. 퀴블러 로스는 평생을 인간의 죽음에 관해서 연구한 의사이다. 세계 최초의 호스피스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그녀는 죽음이 임박한 사람들은 다섯 .. 2024. 3. 26.
장애인 인권 문제와 차별에 관한 생각들 장애인 인권 문제와 차별에 관한 생각들 Contents 1. 장애인 인권이란 무엇인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이다.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동일하게 보장받아야 한다. 그런데 실상을 그렇지 않습니다. 세계 여러 국가에서는 장애 문제가 인권 문제임을 강조하고 있다. 장애인 대부분은 고용과 교육에서 불평등을 경험한다. 폭력과 학대, 편견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손상받기도 한다. 또한 자기 의사와 상관없이 시설에 수용되어 자율성을 인정받기가 어려운 삶을 살아가는 사람도 있다. UN 장애인 권리협약은 장애인의 인권을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규정하고 있다. 3조 일반 원칙에는 개인의 존엄성과 자율 및 자립 존중 차별금지 사회참여와 통합 장애인의 차이에 대한, 존중과 수용 기회의 .. 2024. 3. 24.
장애 유형과 장애인과 함께 할 때 예절(에티켓) 장애 유형과 장애인과 함께 할 때 예절(에티켓) Contents 1. 장애 유형 장애는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가 있다. 신체적 장애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외부 신체 기능 장애와 눈으로 확인 할 수 없는 내부 기관 장애가 있다. 정신장애는 발달장애와 정신장애가 있다. 장애유형 등록 장애인 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2,644,700 신체적 장애 외부 신체 기능 장애 지체장애 1,116,420 뇌병변장애 248,308 시각장애 251,620 청각장애 411,749 언어장애 23,064 안면장애 2,712 내부 기관 장애 신장장애 102,135 심장장애 5,166 호흡기 11,541 간 14,433 장루ㆍ요루 16,012 간질(뇌전증) 7,077 정신적 장애 발달 장애 지적장애 221,557 자폐성장애 .. 2024. 3. 23.
장애인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기초적 개념들 장애인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기초적 개념들 Contents 1. 장애인에 관한 생각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전혀 생각하지 않았던 질문을 몇 가지 해보려 한다. -우리나라에는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선천적 장애가 많을까요. 후천적 장애가 많을까? -장애를 가진 사람을 공식적으로 뭐라고 부를까? -장애를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과 차별받지 않고 평등하게 살아가고 있을까? -마지막으로 중요한 질문이다. 그런데 이 질문은 하고 싶지는 않지만, 꼭 한 번쯤은 자신에게 던져야 할 질문이다. 혹시 나는 미래에 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있을까? 이런 물음에 대해서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2. 장애인에 대한 정의 구분 내용 장애인복지법 신체적 ·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 2024. 3. 22.
우아한 노년이 모두의 꿈이자 우리의 미래다. 우아한 노년이 모두의 꿈이자 우리의 미래다. Contents 1. 우아한 노년 우아한 노년…. 매력적인 말이다. 우아한 노년을 보내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잘 읽어보기를 바란다. 삶을 보는 관점은 긍정적으로 보는 관점과 부정적으로 보는 관점이 있다.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불행한 삶을 살 가능성이 높다.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행복한 삶을 살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결과에서도 드러났다. 2001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 데이비드 스노든 교수와 연구팀은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장수에 미치는 영향을 70년간의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했다. 스노든 교수는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 방식으로 살아가는 스물두 살 정도의 수녀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수녀라는 집단은 다른 대상보다 통제 변인.. 2024. 3. 21.
노인 생애 체험의 목적과 필요성 노인 생애 체험의 목적과 필요성 Contents 1. 노인 생애 체험이란? “마음은 청춘인데 몸은 천근만근이구먼” 노인들이 하시는 이 말씀이 사실인지 궁금하지 않나. 또 이런 말씀도 하신다. “니들도 내 나이 돼봐” 그런데 노인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건 너무 긴 시간이다. 당장 노인의 삶을 체험해 볼 수 있을까? 방법이 있다. 노인 생애 체험은 노인이 되었을 때의 신체적 변화와 그와 관련된 문제를 가상으로 체험하는 활동이다. 2. 노인 생애 체험의 목적 노인 생애 체험은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과, 잘못 알고 있는 노인에 대한 태도, 신체적 노화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노인 생애 체험을 하는 목적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노인이 되었을 때의 신체적 변화를 경험으로 이해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 2024. 3. 20.
청년과 노인의 세대 갈등 원인과 해결 방안 청년과 노인의 세대 갈등 원인과 해결 방안 Contents 1. 세대 갈등 상황 ‘요즘 젊은이들은 버릇이 없다.’ 나이가 드신 분들이 많이 하시는 말씀이다. 이 말은 소크라테스가 살던 시대나 중세 시대에도 당시의 어른들은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세대 갈등은 어느 시대나 다 있었다는 얘기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세대 갈등은 그 어느 시대보다 심각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세대 간에 정치적 성향과 가치관의 차이가 큰 나라이다. 부모와 자식 간에 갈등과 직장에서 상사와 부하 직원 간에 갈등 중에서 가치관에 의한 세대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수면 위에 드러나지 않으면서 세대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청년과 노인 간의 세대 갈등은 수면 위로 등장하여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청년.. 2024. 3. 19.